|  # 촬영일시: 2015년 2월 21일(토)
 # 촬영장소: 서울시 동대문구 전철역 (동대문역사 문화공원역)
 
 
 언 덕
 
    2015년 설날은 서울에서 보냈다.
 내 위로 형님이 두 분, 누님이 네 분 계시는데 전부 객지에서 사신다.
 큰 누님은 서울에 나머지 형님 두 분과 누님 세 분은 미국, 독일, 스위스에 각각 사는 까닭에 고향에서 독신으로 지내는 나로서는
 명절 때면 제사에서는 홀가분하다.( 제사는 외국에서 지낸다.)  나는 매년 이맘때면  장거리 산행을 다녀왔다.
 
 올해는 서울로 상경했다.
  누님댁에서 조카들 얼굴도 볼겸, 만날 사람도 좀 만나고...그런 이유로 서울로 향했다.그렇게 며칠 보내고 하향을 위해 지하철을 기다리던 중 눈 앞에 한 편의 시가 펼쳐졌다.
 
 서울시에서 이렇게 전철역 마다 승객들의 지루함과 정서를 위해서 인지 역사(驛舍)의 스크린 도어에 시를 몇 편씩 걸쳐놓았다.
 
 박덕규님의 시 이다.
  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   언덕 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 박덕규 지음-   무얼 했니? 원래는 삐죽 솟은 산이었는데 자꾸 미끄러져 내려서 그렇게 나지막해진 거니?   무얼 했니? 원래는 아득한 벌판이었는데 점점 쌓이기만 해서 그렇게 웅크리게 된 거니?   바람은 왜 여기 와서 기웃거리니? 너와 나는 오늘밤 뜬눈으로 보내야 하는 거니?  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  언덕이라는 이름은 들어도 싫증이 나지않는 말이다.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말 중에도 들어서 편한 말들이 참으로 많은 것 같다.
 그 중에 '언덕' !
 
 높지도 낮지도 않는 그런 높이로 노인들이 산나물을 뜯기도 하고 남녀노소 산책코스도 될 수 있으며
 양들이 평화롭게 풀을 뜯는 것이 연상되는 그런 말.
 
 힘들어  땀을 흘리며 올라갈 필요가 없으며 내 분수에 맞춰 무리함이 없이 걸을 수 있는 길이 있는 그런 언덕!
 참 편한 말이다.
 
 사람과 사람사이.
 남녀의 연인사이. 그런 사이도 언덕을 보는듯한 감정만이 존재했음 좋겠다.  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  언덕              - 최종은(알비노) 지음-   처음에는 조금만 올라가 봤습니다.
 시인들이 올라가는 언덕이 너무 아름다워
 그들처럼 언덕을 올라가 봤습니다.
 
 내려오던 길에
 언덕에 올라서서 봐둔
 먼데 풍경 한 점.
 그 풍경을 눈에 담아 두었습니다.
 
 다음 날,
 처음보다 조금 더 올라가 봤습니다.처음봤던 그 풍경 보다 더 멋있는 풍경이
 눈 앞에 펼쳐지고
 나는 처음 봤던 풍경을 미련없이 버렸습니다.
 
 내려오던 길에
 나 아닌 다른 사람이 내가 처음 올랐던 그 언덕 그 자리에서
 풍경을 바라봅니다.
 
 그런데
 그 풍경은 내가 처음봤던 풍경과 다르게
 구름이 흘러갑니다.
 
 내가 처음 언덕을 오를때는
 구름 한 점 없는 화창한 봄날이었습니다.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 2015. 2.23-
 
 
 |